" content="user-scalable=no, initial-scale=1.0, maximum-scale=1.0, minimum-scale=1.0, width=device-width"> 염화칼슘 제설제로 작용하는 메커니즘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염화칼슘 제설제로 작용하는 메커니즘

by hjjo1 2024. 11. 29.
반응형

염화칼슘(CaCl₂)은 겨울철 도로의 제설제로 널리 사용됩니다.   염화칼슘의 화학적 특성과 빙점 강하 원리, 그리고 자동차 및 도로 부식과 관련된 내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128493.html 기사인용

 

 

제     목

염화칼슘(CaCl₂) 이란

빙점 강하 원리

자동차, 도로  부식 원리

결론

 

염화칼슘(CaCl₂) 이란

염화칼슘은 칼슘 이온(Ca²⁺)과 염화 이온(Cl⁻)이 결합하여 형성된 이온 결합 화합물입니다. 이 물질은 무색의 결정 형태로 존재하며, 물에 잘 녹습니다. 제설제로 사용될 때, 염화칼슘은 눈이나 얼음을 녹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빙점 강하 원리

염화칼슘이 제설제로 작용하는 주요 원리는 빙점 강하입니다. 물에 용해된 염화칼슘은 다음과 같은 화학반응을 통해 이온으로 해리(이온분리)됩니다.

CaCl 2 ( 𝑠 ) → Ca 2 + ( 𝑎 𝑞 ) + 2 Cl − ( 𝑎 𝑞 )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온들은 물의 동결점(어는점)을 낮추는 데 기여합니다.

순수한 물의 동결점(어는점)은 섭씨 0℃ 이지만, 염화칼슘이 물에 녹으면 동결점(어는점)은   낮아집니다. 염화칼슘의 농도에 따라 동결점이 감소하는 정도는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염화칼슘의 농도가 높을수록 빙점이 더 많이 낮아집니다. 이 원리를 통해 도로 위의 눈이나 얼음을 효과적으로 녹일 수 있습니다.

일반물은 0℃에서 얼음이 되지만, 소금물은 더 낮은 온도에서 얼음이 되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자동차, 도로  부식 원리

그러나 염화칼슘의 사용은 도로에 부식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염화칼슘이 도로 표면에 남아있으면, 다음과 같은 화학반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염화 이온의 부식성:

염화 이온(Cl⁻)은 이온상태일 때 금속과 반응성이 아주 높은 성질을 갖습니다. 때문에  부식을 촉진합니다. 소금(NaCl)이 금속을 부식시키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특히 차량의 금속 부품이나 도로의 철근과 같은 구조물에 영향을 미칩니다.

 2. 수분과의 반응:

염화칼슘은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도로 표면에 수분을 유지하게 되고 겨울철에는 물이 얼고 녹는 과정에서 추가적인 스트레스를 초래 도로의 포트홀 같은 문제를 가속화시키게 됩니다. 

3. 부식 메커니즘:

염화 이온은 금속 표면에서 보호막 역할을 하는 산화물 층을 파괴하여 금속이 직접적으로 산소와 반응하게 만듭니다. 이로 인해 금속이 산화되어 부식이 진행됩니다.

결론

염화칼슘은 눈과 얼음의 해체에 매우 효과적인 제설제입니다. 그러나 그 사용은 도로, 차량  부식이라는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최근 차량은 하부의 부식성을 많이 개선된 제품들이지만 가끔은 하부세차가 필요한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