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ntent="user-scalable=no, initial-scale=1.0, maximum-scale=1.0, minimum-scale=1.0, width=device-width"> 종합소득세 신고했더니 '마이너스 소득'이? 결손금, 제대로 알고 활용하세요!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종합소득세 신고했더니 '마이너스 소득'이? 결손금, 제대로 알고 활용하세요!

by hjjo1 2025. 5. 14.
반응형

안녕하세요, 사업 활동으로 바쁜 하루를 보내고 계신 여러분! 매년 5월이면 종합소득세 신고 때문에 분주하실 텐데요. 신고를 마치고 확인해 보니 소득금액이 마이너스로 표시되어 있어서 당황하신 적은 없으신가요?

 

분명히 사업은 계속했는데, 왜 소득이 플러스가 아닌 마이너스로 나오는 걸까요? 그리고 이렇게 '마이너스 소득', 즉 세법상 '결손금'이 발생했을 때는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단순히 손실이 났다는 의미를 넘어, 이 결손금을 통해 세금 혜택을 받을 수도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종합소득세 신고 시 발생하는 마이너스 소득(결손금)이 무엇인지, 왜 생기는지, 그리고 이 결손금을 납부할 세금을 줄이는 데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쉽고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대한민국정책브리핑 종합소득세 신고안내기사

목           차

1. 종합소득세 '마이너스 소득'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2. 왜 마이너스 소득 (결손금)이 발생할까요?

3. 마이너스 소득 (결손금)이 발생했다면?

4. 결손금, 정확하게 신고하려면?

마무리하며

1. 종합소득세 '마이너스 소득'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종합소득세 신고 결과에 나타나는 '마이너스 소득'은 세법 용어로 '결손금'이라고 합니다.

 

이것은 전년도 1월 1일부터 전년도 12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 사업으로 벌어들인 총수입금액보다 사업을 운영하기 위해 지출한 필요경비(비용)가 더 많아, 계산 결과 소득금액이 0보다 작아진 상태를 의미합니다.

 

간단히 말해, ""전년도 한 해 동안 사업을 해서 번 돈보다 사업에 쓴 돈이 더 많았습니다.""라는 것을 세무적으로 보여주는 수치인 셈이죠. 즉, 사업에서 손실이 발생했음을 나타냅니다.

2. 왜 마이너스 소득 (결손금)이 발생할까요?

사업이 늘 수익만 나는 것은 아니죠. 다양한 이유로 결손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흔한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사업 초기 대규모 투자: 사업을 새로 시작할 때, 초기 시설 투자, 인테리어, 장비 구입, 재고 확보 등에 큰 자금이 들어가면서 첫해나 둘째 해에 매출보다 비용이 앞서 결손금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 일시적인 경기 침체 또는 매출 부진: 예상치 못한 시장 상황 변화나 경기 악화로 인해 매출이 일시적으로 크게 줄어들면서 고정 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손실이 날 수 있습니다.
  • 예외적인 비용 발생: 사업 중 예상치 못한 기계 고장 수리비, 대규모 마케팅 비용 지출 등 평소보다 훨씬 큰 비용이 특정 기간에 집중될 때 결손금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 감가상각비 반영: 사업용 건물이나 기계 같은 고정자산의 가치 감소분을 비용으로 처리하는 감가상각비(자산 가치 감소분을 비용으로 처리)가 크게 반영될 때 소득금액이 줄어들거나 마이너스가 될 수 있습니다.
  • 재고 자산 손실: 판매되지 않거나 가치가 하락한 재고를 손실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비용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대한민국정책브리핑 종합소득세 신고안내기사

3. 마이너스 소득 (결손금)이 발생했다면?

'결손금 공제'를 활용하세요! 결손금이 발생했다고 해서 그냥 신고하고 끝내면 안 됩니다! 세법은 사업자가 입은 손실을 보전하고 세금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결손금 공제'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제도를 활용하면 미래에 낼 세금을 줄이거나, 이미 낸 세금을 돌려받을 수도 있습니다.

 

결손금을 활용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방법 1: 결손금 소급공제 (지난 세금 환급받기)

  • 어떤 제도인가요? 전년도에 발생한 결손금을 바로 직전 연도에 발생했던 소득에서 차감하여, 직전 연도에 납부했던 세금을 돌려받는 제도입니다.
  •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 주로 중소기업 규모의 사업자만 해당됩니다. (모든 사업자가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 언제 활용하면 좋을까요? 직전 연도에 세금을 많이 납부했고, 지금 당장 사업 자금 유동성 확보가 중요할 때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신청해야 합니다.

방법 2: 결손금 이월공제 (앞으로 낼 세금 줄이기)

  • 어떤 제도인가요? 전년도에 발생한 결손금을 향후 15년 동안 사업에서 소득이 발생했을 때, 그 소득에서 순차적으로 차감하여 미래에 납부할 세금을 줄이는 제도입니다.
  •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 모든 사업자가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언제 활용하면 좋을까요? 직전 연도에 납부한 세금이 적거나 아예 없어서 소급공제 효과가 적을 때, 또는 앞으로 사업이 더욱 성장하여 높은 소득이 예상될 때 장기적인 절세 효과를 위해 선택하면 좋습니다. 종합소득세 신고 시 결손금 발생 사실을 신고하면 자동으로 이월됩니다.

 

나에게 맞는 결손금 공제 방법은?

사업 상황과 향후 계획에 따라 유리한 방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 작년에 세금을 꽤 냈고, 당장 현금 확보가 급하다면? → 결손금 소급공제 신청을 검토해 보세요.
  • 작년에 세금 낸 것이 거의 없거나, 앞으로 사업이 잘 될 것 같다면? → 결손금 이월공제가 장기적으로 더 큰 혜택을 줄 수 있습니다.

 

💡 세금 꿀팁! 본인에게 가장 유리한 방법이 무엇인지 판단하기 어렵다면, 홈택스의 세금 모의계산 기능을 활용하거나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여 정확한 정보를 얻는 것이 좋습니다.

 

대한민국정책브리핑 종합소득세 신고안내기사

4. 결손금, 정확하게 신고하려면?

결손금을 제대로 인정받고 세금 혜택을 누리기 위해서는 몇 가지 중요한 사항을 지켜야 합니다.

  • 꼼꼼한 증빙 서류 관리: 사업 운영에 들어간 비용임을 증명하는 모든 서류들, 즉 세금계산서, 계산서, 카드 전표, 영수증 등을 잘 모아두고 관리해야 합니다. 세무서에서 요구할 때 제출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정확한 장부 작성: 수입과 지출 내역을 빠짐없이 기록한 장부를 작성하는 것이 기본 중의 기본입니다. 간편장부든 복식부기든, 장부가 있어야만 결손금 발생 사실과 그 금액을 세무 당국에 명확하게 소명할 수 있습니다.
  • 성실한 신고는 필수: 결손금을 일부러 만들기 위해 가짜 비용을 만들거나 소득을 숨기는 등의 행위는 절대 금물입니다. 이는 명백한 탈세 행위이며, 적발 시 가산세 폭탄과 같은 큰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정책브리핑 종합소득세 신고안내기사

마무리하며

대한민국정책브리핑 종합소득세 신고안내기사

사업을 운영하다 보면 어려움을 겪거나 예상치 못한 손실로 인해 마이너스 소득(결손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에서도 세법이 제공하는 결손금 공제 제도를 잘 활용한다면, 과거에 납부한 세금을 돌려받거나 미래에 납부할 세금을 줄이는 등 세금 부담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오늘 알려드린 정보가 여러분의 종합소득세 신고와 절세 계획에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정확하고 성실한 신고를 통해 받을 수 있는 혜택을 놓치지 마시길 바랍니다!

반응형